본문 바로가기
문제해결

문제해결 스타가 필요한 세상

by 블랙닥터 2023. 10. 25.

문제해결 스타가 필요한 세상

요즘 가수 임영웅씨가 제 주변 여성들의 즐거움이더군요. 우리는 대중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얻은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같은 사람들을 일컬어 <스타>라고 하는데, 어떤 사람에게는 이들이 꿈이고 희망이며 즐거움이고 또 삶의 의미와 행복을 만들어가는 동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세상에는 <스타>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하지만 정작 우리네 세상은 별볼일이 없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꿈과 희망을 잃게 만드는 요즘 우리 사회의 현상들을 보면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이  <문제해결 스타> 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정말 요즘은 하늘에서 별을 구경하기가 참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어쩌다 밤하늘에서 별을 마주하게 되노라면 그 광경이 아주 흥미롭고 아름답게 다가옵니다. 특히 어느 한적한 여행지의 칠흑같이 어두운 밤하늘에서 마주한 폭우 같이 쏟아지는 별빛들은 가슴 뭉클한 감동으로 다가오곤 합니다. 그리고 그때 찾아낸 별자리들은 아주 오래도록 여행을 추억하게 해 줍니다.

 

사실 별자리는 지구에서 보이는 별들을 우리 인간이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구성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특정 사물의 모습에 별들을 이어서 이름을 붙인 것들입니다. 그러므로 별자리는 실체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왜 실체도 없는 별자리들을 만들었을까 궁금하지 않습니까?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테지만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이 밤하늘의 별들을 쉽게 찾고 또 별들의 위치를 쉽게 기억하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아시다시피 요즘같이 과학과 항해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망망대해의 항해자들이 별자리를 이용해 항해 방향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요즘도 전문가나 천문학자들이 인공위성을 추적할 때나 특정한 별을 찾을 때 별자리를 활용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항해자에게 등대와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필요했듯이 인간의 삶 속에 나타난 나름의 필요가 별자리를 만들게 한 것입니다.

 

문제해결자에게 <문제해결 스타>도 별자리와 같은 것입니다. 다시 말해 문제해결자들에게도 문제해결을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한 번에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문제해결과 관련된 세상의 다양한 경험과 정보 지식을 모아서 <문제해결 스타> 모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이 모형은 항해자 관점에서의 별자리 의미와 같이, 문제해결자에게 규명의 대상 방법 절차 등을 알려주는 안내자가 될 것입니다.

 

한편, 별에도 종류가 있고 분류 방법에 따라 다양하죠. 밝기로만 분류하면 가장 밝은 별을 1등성으로 하여 6등성까지 구분하고 차이를 만드는 요인은 별의 크기, 지구와의 거리 등 여러 요인의 작용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별자리는 다양한 종류의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북두칠성도 하나의 평면에 일곱 개의 별이 놓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일곱 개의 별이 지구에서 떨어진 거리는 각기 다릅니다. 북두칠성 중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별은 지구에서 78광년, 가장 멀리 있는 별은 124광년 떨어져 있다고 합니다.

 

<문제해결 스타> 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규명 요소들도 이와 마찬가지 입니다. 북두칠성을 구성하고 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별들과 같이 서로 다른 규명 요소들이 모여 하나의 모형을 형성한 것입니다. 각각의 요소는 첫 글자를 연결하여 <---->로 정리한 다섯 개입니다. 우리 별자리들과 같이 이 다섯 개 요소에 규명의 중요성을 함축하여  <오규명>으로 명명해 보면 어떨까요? 각 요소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엇이 <> 문제인지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

: 문제해결의 <목적> , 방향성을 명확히 규명하는 것

: 원인과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

: 해결안의 적정성을 규명하는 것

: 리스크 즉, 해결안 실행시 우려되는 사항을 예측하여 미리 조치하는 것

 

<문제해결 스타> 모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의 주체가 누구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이 선행조건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의 문제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얽혀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예를 들어 한 집안에서 결혼을 안 하고 있는 아들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면 이 문제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본인은 물론 부모님, 형제자매, 친구 등과 같이 다양한데 이 모두가 문제해결의 주체가 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해관계자 중에서 문제를 자신의 과제로 선택하는 사람을 문제해결의 주체로 인식해야 합니다. 이는 <문제해결 스타> 모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주체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히고 그래야 문제해결에 조금 더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문제해결의 주체를 <문제해결자>라고 합니다. 앞으로 이 모형의 실천적 활용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알아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