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제해결

고정관념이나 편견에서 벗어나는 Fact-Base 사고의 습관화!

by 블랙닥터 2023. 8. 23.

고정관념이나 편견에서 벗어나는 Fact-Base 사고의 습관화!

우리가 접하는 가짜뉴스나 현상들에 대한 해석 방식은 사람들마다 서로 다릅니다. 이는 마치 코끼리를 전혀 모르는 <시각 장애인>이 다리, , 귀 등과 같이 서로 다른 특정 부위만 만져보고 코끼리를 인식하는 방식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문제가 될 만한 현상들에 대해 항상 Fact-Base에서 생각하고 바라봐야 합니다.

 

Fact-Base 사고의 습관화는 우리가 고정관념이나 편견에서 벗어나 현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무엇보다 Fact Base 사고를 습관화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음 사항들을 유념하여 실천해야 합니다.

 

항상 Zero-Base에서 현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사실 Fact>이 존재하는 현장을 관찰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정보는 최대한 정량화 하여 수집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의식을 발휘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미 경험적 지식으로 문제의식이 얼마나 중요한 능력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직장인들은 한 번쯤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제의식이 뛰어나야 한다.’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말이 업무현장에서도 말대로 구현되고 있을까요?

 

예를 들어 <한 신입직원이 조직의 문제들을 찾아서 상사들에게 열심히 제기하며 생활하고 있다>, 우리는 이 직원의 앞날을 어떻게 전망해 볼 수 있을까요? 혹시 <우수직원, 핵심인재, 승진 대상> 등의 긍정적인 모습으로 전망해 볼 수 있을까요?

 

업무현장에서의 조직원들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었습니다. 이유는 부하들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 상사들의 반응이 대부분 <그걸 누가 몰라?, 대안을 갖고 말해야지, 쓸데없는데 신경 쓰지 말고 맡은 일이나 좀 잘 해라> 등과 같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우수성을 인정받아 조직에 선발된 직원이 자신도 모르게 조직에서 열심히 부정적 이미지를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직원이 이와 같은 사실을 알게 되면 실망은 물론 상사를 나쁘게 인식할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상사가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주된 이유가 직원의 문제의식이 올바르게 발휘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직원이 제기하는 대부분의 문제들이 Fact-Base가 아니라 본인 기준으로 보고 이해한 현상에 대한 것이고, 그런 현상이 <부족, 부진, 불량, 미흡> 등의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상사의 입장에서는 부하가 제기하는 문제를 <불평, 불만>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공동의 목표를 갖고 함께하는 조직이라면 조직의 규모와 상관없이 문제해결은 어려운 과제일 것입니다. 이유는 모든 문제는 사람들이 해결해야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기준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알고 있는 유태인들의 지혜를 빌려 아이들의 케이크 나누기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늘 바쁜 일과에 쫓겨서 정신과 육체가 피곤한 당신이 어느 가정의 날을 맞아 모처럼 일찍 귀가를 하게 되었습니다. 7, 6살 두 아이의 부모인 당신은 제과점에서 케이크를 하나 사 들고 귀가를 했습니다. 그런데 반갑게 케이크를 받아 든 두 아이가 당신은 뒷전이고, 서로 케이크의 양을 두고 양보 없이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당신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당신의 대응 절차를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당신이 아이들 의사와 상관없이 케이크를 반으로 나누어 준다거나, 아이들이 스스로 사이 좋게 나누어 먹는다고 말을 할 때까지 케이크를 회수하고 안 준다거나 하는 등의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당신은 아이들에게 상사와 똑같은 사람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당신은 문제보다 두 아이의 갈등 현상에 즉흥적으로 대응하여 당신이 주도적으로 해결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당신의 행위는 아직 저항력이 약한 아이들의 마음에 상처를 줄 수 있고 아이들의 상처가 누적되면 마음의 병이라는 더 큰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Fact-Base 사고를 기반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문제를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Fact-Base에서 현상을 바라보면 <당신이 평소보다 일찍 귀가했음, 당신이 케이크를 한 개 사 왔음, 두 아이가 케이크를 두고 다투고 있음> 등과 같이 현재의 사실적인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것을 기반으로 <내가 평소대로 늦게 귀가 했어야 하는가? 또는 케이크를 두 개 사 왔어야 하는가? 두 아이가 서로 사이좋게 케이크를 나눠먹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같은 문제의식을 발휘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만약에 우리의 문제의식이 이렇게 발휘된다면 우리는 조금 더 쉽게 문제해결에 접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에는 문제해결 절차에 대해 생각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