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25

어떤 사과를 딸 것인가? 어떤 사과를 딸 것인가? 대박 아이템을 꿈꾸는 사람들로 넘쳐나는 세상, 그렇다면 문제해결에서 정말 좋은 해결안은 무엇으로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오래전 어느 글에서 읽었던 호텔경영자 이야기입니다. 그는 출장을 가면 항상 경쟁 관계의 한 호텔에 묵었다고 합니다. 자신을 알아봐 주는 직원들 때문인데요, 그가 방문을 하면 직원들이 항상 반가운 표정으로 라고 인사를 했고 이런 직원들에게 감명받은 경영자는 계속 그 호텔을 이용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직원들도 이들과 같이 인사를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답니다. 그리고 경영자는 정말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 해결안을 결정했다고 합니다. 그것은 한 번이라도 호텔에 방문했던 고객을 미리 알아볼 수 있도록 안면인식 같은 컴퓨터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었고.. 2023. 11. 20.
문제를 구성하는 핵심 원인과 문제점 소통전문가 중에는 앞서 언급했던 문제는 극복이 아니라 이해와 인정의 대상이라고 강조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는 세(世)를 가계나 지위의 차례로써 와 같이 순서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고, 대(代)는 이어져 내려오는 계통의 한 단계를 의미하여 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세와 대 사이에 존재하는 에 대한 이해와 인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조직의 상사와 부하, 선배와 후배, 꼰대 그룹과 MZ 그룹의 차이나 갈등도 같은 맥락에서 2세 측면의 요인과 1대 측면의 요인이 합쳐진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문제가 어느 일방이 아니라 그룹과 그룹의 쌍방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쌍방의 요인을 모두 이해하고 인정해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해결할 문제도 에 대해 소통전문.. 2023. 11. 2.
일도 목적은 알고 합시다 밀레니얼, Z 세대가 실무의 핵심으로 등장 하면서 세대 차이>가 큰 문제입니다. 직장 상사, 선배를 통칭하는 꼰대 그룹과 부하, 후배를 대표하는 MZ 그룹 사이의 차이가 심각합니다. 차이 유발 대상도 회식, 회의, 퇴근 후 연락, 단체 점심 식사 등 정말 다양합니다. 직장에서 회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와 > 간의 갈등이면 참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 아닐 수 없네요. 직장은 모두가 함께 더불어 일하는 곳이죠. 물론 그 일을 하려고 본인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곳이기도 합니다. 누군가 왜 일을 하는가?>라고 묻는다면 뭐라고 답을 할까요?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어서, 또는 죽지 못해서>라고 말하는 사람, 맹목적으로 살고 있음을 하소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BC 384~B.. 2023. 11. 1.
무엇이 왜 문제인가 규명하기 무엇이 왜 문제인가? 모범이 되어야 할 지도층 인사의 가 큰 사회적 이슈입니다. 리더의 말과 행동이 다르면 혼란이 발생하고 모범이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실천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앞서 모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모형의 실천적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습니다. 그 첫 번째가 무엇이 왜 문제인가에 관한 것인데 이는 에 대한 인식 즉, 문제의 심각성 공유를 통해 명확해집니다. 모든 문제의 심각성은 를 통해 규명해야 합니다. 우리는 해결해야 할 문제의 모습이 의 형태로 드러나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유는 문제의 본질이 속에 의 형태로 숨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의 이슈가 문제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는 현상과 기대 사이에 숨어있는 가 드러나야 합니다. 우리는 절대로 현상이.. 2023. 10. 27.
문제해결 스타가 필요한 세상 문제해결 스타가 필요한 세상 요즘 가수 임영웅씨가 제 주변 여성들의 즐거움이더군요. 우리는 대중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얻은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같은 사람들을 일컬어 라고 하는데, 어떤 사람에게는 이들이 꿈이고 희망이며 즐거움이고 또 삶의 의미와 행복을 만들어가는 동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세상에는 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하지만 정작 우리네 세상은 별볼일이 없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꿈과 희망을 잃게 만드는 요즘 우리 사회의 현상들을 보면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이 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정말 요즘은 하늘에서 별을 구경하기가 참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어쩌다 밤하늘에서 별을 마주하게 되노라면 그 광경이 아주 흥미롭고 아름답게 다가옵니다. 특히 어느 한적한 여행지의.. 2023. 10. 25.
생각의 틀 벗어나기와 질문 문제해결에는 과거부터 미래까지의 시간여행이 필수적이죠. 질문이 현재를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여 시간여행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질문을 잘 알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문제해결은 무엇이 문제인지를 규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고 이는 현재의 모습을 확인하는 질문에서 비롯되니까요. 다음은 한 편의 옛 한시입니다. 우리 시를 읽어 보면서 각자에게 전해지는 느낌과 이미지를 연상해 볼까요? 제목: 祭塚謠(제총요) 무덤에 제사지내는 노래 / 李達(이달, 1539-1612) 白犬前行黃犬隨 (백견전행황견수) 흰둥개가 앞서 가고 누렁이가 따라가는 野田草際塚纍纍 (야전초제총루루) 들밭 풀가에는 무덤들이 늘어섰네 老翁祭罷田間道 (노옹제파전간도) 제사 마친 할아버지는 밭두둑 길에서 日暮醉歸扶小兒 (일모취귀부소.. 2023. 10. 16.